제 3과목 직무윤리 및 법규/투자운용 및 전략1 / 거시경제 및 분산투자 - 채권투자운용 / 투자전략
이자지급 방법에 따라 채권을 분류한 것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특수채
2. 복리채
3. 할인채
4. 이표채
답 : 1번
해설 :
특수채는 발행주체에 따라 분류한 채권에 해당한다.
*채권의 분류
- 발행주체에 따른 분류 : 국채, 지방채, 특수채 , 회사채 - 이자지급방법에 따른 분류 : 이표채, 할인채, 복리채, 거치분할상환채 - 통화 표시, 상환기간, 이자금액 변동 유무에 따른 분류도 가능하다. |
맥컬레이 듀레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이자율이 20%인 영구채권의 듀레이션은 6%이다.
2. 이표채권의 경우 액면금리가 낮을수록 듀레이션은 길어진다.
3. 일반적으로 만기가 길어질수록 듀레이션은 길어진다.
4. 이표채의 듀레이션은 항상 만기보다 길다.
답 : 4번
해설 :
이표채의 듀레이션은 항상 만기보다 짧다
1. 영구채권의 듀레이션은 (1+ i) / i 이다. (1 + 0.2) / 0.2 = 6
추가해설 :
맥컬레이 듀레이션(Macaulay Duration) 이란?
- 채권에서 발생하는 미래 현금흐름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가중평균기간.
- 채권의 투자원금(p)의 가중평균회수기간(현가 기준)으로 정의된다.
이표채의 경우 : 만기보다 듀레이션이 짧음 무이표채(할인채, 복리채)의 경우 : 만기와 듀레이션이 동일 영구채의 경우 : 듀레이션은 1/YTM (만기수익률의 역수) |
듀레이션의 영향 요소
1. 표면금리(쿠폰금리) : 낮을수록 듀레이션이 증가한다.
2. 잔존만기 : 길수록 듀레이션이 증가한다.
3. 만기수익률(YTM) : 낮을수록 듀레이션이 증가한다.
합성채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환사채는 주식으로의 전환 시 자본이 증가하고 부채가 감소한다.
2. 신주인수권부 사채의 신주인수권을 행사하면 자본과 자산이 동시에 증가한다.
3. 교환사채는 교환 시 발행사의 자산이 증가하며 부채는 감소한다.
4. 수의 상관채권은 시장이자율이 하락하면 수의상환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답 : 3번
해설 :
교환사채를 행사하는 경우 발행사의 자산과 부채가 동시에 감소한다.
추가해설 :
합성채권 이란?
- 여러 금융상품(채권, 옵션, 선물 등)을 조합하여 특정한 채권과 동일한 현금흐름을 생성하는 금융상품을 말한다.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
- 채권 보유자가 일정 기간 내에 미리 정해진 조건으로 발행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되는 채권
- 투자자는 채권을 보유하다가 주가 상승시 주식으로 전환하여 자본 차익을 얻을 수 있다.
- 일반 채권보다 금리가 낮다. (주식 전환 옵션이 존재하기 때문)
- 주식으로 전환되면 회사의 부채가 줄고 자본이 증가한다. (재무구조 개선 효과)
신주인수권부사채(BW, Bond with Warrant)
- 채권 보유자가 일정 기간 내에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발행회사의 신주를 매입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
- 전환자채(CB)와 달리 주식으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 주식을 추가로 매입할 수 있는 옵션이 붙어 있다.
- 일반 채권보다 금리가 낮다. (주식 매입 옵션이 있기 때문)
- 신주인수권(워런트 , Warrant)은 채권과 분리하여 거래 가능하다.
교환사채(EB, Exchangeable Bond)
- 채권 보유자가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발행회사가 보유한 타사 주식으로 교환 할 수 있는 채권
- CB와 달리, 발행회사의 신주가 아니라 , 회사가 보유한 타사 주식과 교환된다.
- 주식 전환이 아니라 교환이므로 회사의 부채가 줄어들지 않음
- 일반 채권보다 금리가 낮음(주식 교환 옵션이 있기 때문)
수의상환채권(Puttable Bond)
- 채권 보유자가 일정 조건을 충족할 경우 발행회사에 채권을 조기 상환(환매)할 수 있는 채권
- 투자자가 조기 상환을 요구할 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되어 있다.
- 일반 채권보다 금리가 낮다. (조기 상환 옵션이 있기 때문)
- 금리 상승 시 투자자가 조기 상환을 요청하여 금리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
<보기>를 참고하여 관행적 방식으로 계산한 통화안정증권 A의 매매가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원 미만은 절사함)
- 잔존기간 : 121일 - 표면이율 : 3% - 액면가격 : 10,000원 - 만기수익률 : 4% |
1. 9,869원
2. 11,538원
3. 29,628원
4. 40,109원
답 : 1번
해설 :
잔존만기가 1년 미만이므로 단리로 계산한다.
계산 공식
매매가격(현재가치) = 액면가 / (1 + 만기수익률 * 잔존기간/365)
= 10,000 / (1 + 0.04 * 121/365)
= 10,000 / 1.01326
= 9,869 원
<보기>의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금리 수준이 일정하더라도 잔존기간이 짧아지면 그만큼 수익률이 하락하여 채권가격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것을 ( ) (이)라고 한다. |
1. 채권 교체 전략
2. 스프레드 운용전략
3. 롤링효과
4. 숄더효과
답 : 3번
해설 :
채권 교체 전략(Bond Swap Strategy)
- 기존 보유 채권을 매도하고 , 보다 유리한 조건의 채권으로 교체하는 전략
- 이자율, 신용 스프레드 교체 , 만기 구조 조정 , 세금 절감 목적 등
스프레드 운용 전략(Spread Strategy)
- 두 개 이상의 채권 간 금리(수익률) 차이(스프레드)를 이용하여 수익을 극대화 하는 전략
- 신용 스프레드 전략
- 신용등급이 다른 채권 간 금리 차이를 이용
- 경제 호황기 : 신용등급이 낮은 고위험 채권 매수 > 금리 하락시 수익
- 경기 침체기 : 신용등급이 높은 안전한 채권 매수 > 리스크 회피
- 만기 스프레드 전략
- 만기가 다른 채권 간 금리 차이를 이용
- 금리 상승기 : 단기채 매수 , 장기채 매도
- 금리 하락기 : 장기채 매수 , 단기채 매도
- 국채-회사채 스프레드
- 국채와 회사채 간 금리 차이를 이용한 전략
- 회사채 스프레드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면 회사채 매수
롤링 효과 (Rolling Effect)
- 잔존만기가 줄어듦에 따라 채권 수익률이 하락하면서 채권 가격이 상승하는 효과
- 채권의 만기가 가까워지룻록 수익률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 만기가 줄어들면서 높은 금리를 적용받던 채권이 단기채권 금리에 수렴하게 된다.
-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 상승 효과가 발생한다.
숄더 효과 (Shoulder Effect)
- 단기 구조 조정 시, 중기채가 단기채 및 장기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보이는 현상
- 금리가 변동할대 중기채가 단기채 및 장기채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제공한다.
- 금리 변동에 따라 채권 포트폴리오를 조정할 때 중기채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전략
소극적 채권운용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목표투자기간 중 시장수익률의 변동에 관계없이 채권 매입 당시에 설정하였던 최선의 수익률을 목표기간 말에 큰 차이 없이 실현하도록 하는 기법은 전통적 면역 전략이다.
2. 자산과 부채의 듀레이션 갭을 최소화하여 순자산 가치의 변동성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방법은 상황대응적 면역 전략이다.
3. 채권시장 전체의 흐름을 그대로 따르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채권시장 전체의 수익률을 달성하려는 전략은 채권 인덱싱 전략이다.
4. 채권별 보유량을 각 잔존기간마다 동일하게 유지하여 시세변동의 위험을 평준화하고 적정 수준의 수익성도 확보하려는 전략은 사다리형 만기 전략이다.
답 : 2번
해설 :
* 소극적 채권운용전략
만기보유 전략 | -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하여 투자 시점에서 투자 수익을 확정한다. |
사다리형 만기 전략 | - 채권별 보유량을 각 잔존기간마다 동일하게 유지하여 가격위험을 평준화시키고 수익성도 확보한다. |
채권면역전략 | - 전통적 면역 전략 : 시장수익률의 변동과 관계없이 최초 설정한 수익률을 기간 말에 손실 없이 실현한다. - 순자산가치 면역 전략 : 자산과 부채의 듀레이션 갭을 최소화하여 순자산 가치의 변동성을 최소화한다. - 상황대응적 면역 전략 : 상황에 따라 적극적 투자전략과 면역전략을 적절히 혼합한다. |
현금흐름 일치 전략 | - 현금유입액이 예상 현금유출액을 상회하도록 구성한다. |
채권 인덱싱 전략 | - 채권시장 전체의 흐름을 포트폴리오에 그대로 구성하여 채권시장 전체와 동일한 수익률을 달성함 |
'개인공부 > 투자자산운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자산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7 (0) | 2025.02.24 |
---|---|
투자자산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6 (0) | 2025.02.17 |
투자자산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4 (0) | 2025.02.09 |
투자자산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3 (2) | 2025.02.06 |
투자자산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2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