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공부/투자자산운용사

투자자산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6

Hx2y98 2025. 2. 17. 22:36

제 3과목 직무윤리 및 법규/투자운용 및 전략1 / 거시경제 및 분산투자 - 파생상품투자운용 / 투자전략

 

<보기>의 선물거래에 대한 설명 중 빈칸에 들어갈 내용이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 선물시장에서 선물의 가격이 현물의 가격보다 더 큰 경우를 (   )(이)라고 표현한다.
- 반대로 현물의 가격이 선물의 가격보다 높은 경우를 (   )(이)라고 표현한다.

 

1. 콘탱고 상태, 정상시장

2. 정상시장, 역조시장

3. 백워데이션 상태, 콘고 상태

4. 역조시장, 백워데이션 상태

 

답 : 2번

 

해설 : 

콘탱고 상태 (Contango)

 -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높은 상태 . (정상 시장)

 - 일반적으로 저장비용(보관비, 보험료 등) 과 금융비용(자금 조달 비용 등)이 반영되어 선물 가격이 높게 형성된다. 

 - 시간이 지나면서 선물 가격은 점차 현물 가격과 수렴하게 된다. 

 ex) 원자재 시장에서 저장비용이 높은 경우 , 콘탱고 상태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백워데이션 상태 (Backwardation)

 -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낮은 상태 . (역조 시장)

 - 일반적으로 공급 부족, 강한 수요 증가 등의 이유로 현물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경우 발생한다. 

 - 시간이 지나면서 선물 가격이 상승하여 현물 가격과 수렴하는 경향이 있다. 

 ex) 원유 시장에서 단기적인 공급이 부족이 발생하면 백워데이션 상태가 나타날 수 있다. 

 


 

< 보기>의 옵션 차익거래에 대한 설명 중 빈칸에 들어갈 내용이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컨버전 전략은 합성 (  ) 포지션과 현물 (  ) 포지션을 병행하는 전략이며, 리버설 전략은 주가지수 (   ) 차익 거래에 해당한다. 

 

1. 매수, 매수, 매수

2. 매수, 매도, 매도

3. 매도, 매수, 매도

4. 매도, 매도, 매수 

 

답 : 3번

 

해설:

컨버젼 전략 vs 리버설 전략 

컨버젼 - 풋옵션 + 기초자산 < 콜옵션 + 채권 인 경우 시행하는 전략
- 풋옵션 매수 + 기초자산 매수 + 콜옵션 매도+ 채권 발행 
리버설 - 풋옵션 + 기초자산 > 콜옵션 + 채권 인 경우 시행 하는 전략 
- 풋옵션 매도 + 기초자산 매도 + 콜옵션 매수 + 채권 매수 

 

추가해설 : 

컨버젼과 리버설 이란? 

- 시장의 비효율성을 이용하여 무위험 차익거래를 실행하는 전략. 

 

* 컨버젼 전략

- 고평가된 옵션(콜옵션)매도하고, 저평가된 옵션(풋옵션)기초자산매수하는 전략

 

* 리버설 전략

- 저평가된 옵션(콜옵션)매수 하고 , 고평가된 옵션(풋옵션)기초자산매도하는 전략 

 


 

옵션의 내재가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A전자 주식 1주를 1개월 뒤 30만원으로 매도할 수 있는 권리는 콜옵션에 해당한다. 

2. 콜옵션의 내재가치가 양의 값을 지니는 경우 기초자산 가격은 행사가격 보다 크다.

3. 옵션의 사용 시점을 만기 시점에 한 번으로 제한한 경우는 미국식 옵션이라고 한다. 

4. 콜옵션과 풋옵션에서 내재가치가 양의 값을 보이는 상태를 외가격이라고 한다. 

 

답 : 2번 

 

해설: 

콜옵션의 경우 기초자산가격이 행사가격보다 큰 내가격일 때 내재가치가 존재한다. 

 

1. - 콜옵션이 아닌 풋옵션에 해당하는 설명. 주어진 자산을 미래의 일정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 는 풋옵션이다. 

3. - 옵션의 사용 시점을 만기 시점에 한 번으로 제한한 경우는 '유럽식 옵션'이라고 한다. 

4. - 옵션의 내재가치가 양의 값을 보인다면 내가격 상태에 해댕한다. 

 

* 기초자산가격과 행사가격의 관계

시장상황 콜옵션 풋옵션
기초자산가격 > 행사가격 내가격 외가격
기초자산가격 = 행사가격 등가격 등가격
기초자산가격 < 행사가격 외가격 내가

 

* 내가격 : 옵션을 행사하면 즉시 이익이 나는 상태 = 양의 값 

* 외가격 : 옵션을 행사하면 손해가 나는 상태 = 음의 값 

* 등가격 : 기초자산 가격과 행사가격이 같은 상태 

 


 

<보기>의 옵션 프리미엄의 민감도 지표에 대한 설명 중 빈칸에 들어갈 내용이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  ) 는 기초자산의 가격이 변화할 때 옵션 프리미엄이 얼마나 변하는가 하는 민감도를 보여주는 지표이며, (  ) 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옵션 가치의 변화분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1. 델타, 감마

2. 델타, 쎄타

3. 쎄타, 베가

4. 감마, 로우

 

답: 2번

 

해설 : 

* 옵션 프리미엄의 민감도 지표

델타 기초자산가격의 변화에 대한 옵션프리미엄의 변화 정도 
  = 기초자산 가격 변화에 얼마나 민감한지. 
감마 기초자산가격의 변화에 대한 델타의 변화 정도
  = 델타가 얼마나 변하는지 
쎄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옵션가치의 변화 정도
  = 시간이 지나면서 옵션 가격이 얼마나 감소하는지 (시간가치 감소 효과)
베가 변동성 계수의 변화에 대한 옵션프리미엄의 변화 정도
  = 변동성이 증가할 때 옵션 가격이 얼마나 변하는지
로우 금리의 변화에 따른 옵션프리미엄의 민감도 
  = 금리 변화가 옵션 가격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해설 : 

옵션 프리미엄이란 ? 

 - 옵션을 매수할 때 지급하는 가격. 즉 , 옵션의 가치. 옵션 프리미엄은 크게 내재가치 와 시간가치로 구성된다. 

 - 옵션 프리미엄 = 내재가치 + 시간 가치 

 

내재가치

 - 옵션을 즉시 행사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가치 

 

시간가치 

 - 만기까지 남은 시간 동안 기초자산 가격이 변동할 가능성(즉 ,옵션이 가치가 있을 가능성)을 반영한 금액

 


 

<보기>의 스프레드 전략에 대한 설명 중 빈칸에 들어갈 내용이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KOSPI200 선물 9월물이 200pt이고 , 12월 물은 205pt이며 향후 두 월물 간의 스프레드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면, 9월물 (   ) 하고 , 12월물을 (   ) 하는 (   ) 스프레드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 

 

1. 매수, 매도, 강세

2. 매도, 매수, 약세

3. 매수, 매수, 강세

4. 매도, 매도, 약세

 

답 : 1번

 

해설 :

*시간 스프레드 

강세 스프레드 전략 두 선물 가격의 차이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 근월물을 매수하고, 원월물을 매도하는 스프레드 전략
약세 스프레드 전략 두 선물 가격의 차이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근월물을 매도하고, 원월물을 매수하는 스프레드 전략 

 

 

추가해설: 

스프레드란? 

- 두 금융상품(혹은 동일 상품의 다른만기) 의 가격 차이 를 의미한다. 

- 스프레드 전략이란 보통 두개 이상의 포지션을 동시에 보유하여 가격 차이를 이용하는 전략을 뜻한다. 

 

스프레드 축소 

- 두 가격(혹은 두 상품 간의 차이)의 차이가 줄어든다. 즉, 가격차이가 좁혀진다. 라는 의미이다. 

 

스프레드 확대

- 두 가격(혹은 두 상품 간의 차이)의 차이가 증가한다. 즉 , 가격차이가 증가한다. 라는 의미이다. 

 


 

포트폴리오 보험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것은? 

 

1. 방어적 풋 전략은 기초자산인 주식포트폴리오를 매입하는 동시에 해당 포트폴리오에 대한 풋옵션을 매수하는 전략이다. 

2. 이자추출전략은 채권을 매입하고 해당 채권의 이자금액 만큼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이다. 

3. 동적자산배분전략은 주식과 채권으로 자금을 운용함으로써 상승포텐셜과 하락위험방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하는 전략이다. 

4. 합성 채권 매수전략은 주가지수선물을 균형 가격 수준에서 매도하는 동시에 현물주식을 매수하여 선물 만기 시점까지의 금리 수준에 해당하는 이익을 챙기는 전략이다. 

 

답 : 2번

 

해설 : 

이자추출전략은 채권 매수와 동시에 콜옵션을 '매수'하는 전략이다. 

 

* 포트폴리오 보혐전략의 손익

방어적 풋 전략 주가 상승 시 주가 상승은 투자자에게 귀속, 주가 하락 시 포트폴리오 하락은 풋옵션 이익으로 상쇄
이자추출전략 기초자산 가격 상승시 콜옵션 가치상승으로 이익 획득, 기초자산 가격 하락 시 콜옵션의 권리행사를 포기해도 채권의 이자로 콜옵션 매수 시 지급한 프리미엄을사오새
동적 자산배분 전략 초기에는 주식과 채권의 비중을 50: 50으로 구축 후 주가 상승 시 채권 매도 / 주식 추가 매수 , 주가 하락 시 주식 매도 후 채권 매수
동적 헤징전략 동적 자산배분과 유사한 전략을 사용하지만 채권시장의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합성채권 매수전략(현물 주식매수 + 선물주식매도)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