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과목 직무윤리 및 법규 / 투자운용 및 전략 1 / 거시경제 및 분산투자 - 채권투자운용 / 투자전략
<보기> 중 경상수익률에 대한 적절한 설명으로만 모두 묶인 것은?
ㄱ. 채권가격이 상승하면 채권의 경상수익률도 상승한다. ㄴ. 주식의 배당수익률처럼 가격 대비 발행자로부터 직접 수령하는 이자의 비율을 의미한다. ㄷ. 할인 채권 매입자에 대한 잠재적 이익과 할증 채권 매입자에 대한 자본손실을 고려하지 못한다. |
1. ㄱ
2. ㄱ,ㄷ
3. ㄴ,ㄷ
4. ㄱ,ㄴ,ㄷ
답 : 3번
해설 :
ㄱ. - 채권 가격이 상승하면 채권의 경상수익률은 하락한다.
* 채권의 경상수익률
경상수익률 = 연이자 지급액 / 채권의 시장 가격 |
추가해설 :
채권의 경상수익률이란?
- 채권을 현재 시장가격으로 샀을 때, 1년 동안 받을 수 있는 이자 수익이 투자금액 대비 몇 퍼센트인지를 나타내는 비율
- 이자수익만 보고 계산하는 단순한 수익률.
- 채권 만기까지 보유할 때의 매매차익(또는 손실)은 고려하지 않는다.
국채전문딜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본시장법에 따른 국채에 대한 투자매매업의 인가를 받고, 일정 수준의 재무건전성과 경력, 실적 등을 충족하여야 PD 또는 PPD로 지정받을 수 있다.
2. 지표종목별로 매월 경쟁입찰 발행물량의 10% 이상을 인수해야 한다는 국고채 인수의무를 수행해야 한다.
3. 호가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국채전문유통시장에서 각 지표종목에 대하여 매수 / 매도 호가를 각 10개 이상씩 장내시장 개장 시간 동안 제출해야 한다.
4. 원금이자분리채권은 은행 / 증권사별 평균 거래량의 110% 이상을 거래해야 한다는 보유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답 : 4번
해설 :
원금이자분리채권을 은행 / 증권사별 평균 거래량의 110% 이상으로 거래해야 하는 것은 국채전문딜러의 '유통 의무'에 해당하며, 보유의무는 매분기별 자기매매용 국고채 보유 평균잔액을 1조원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무이다.
*국채전문딜러(PD) 제도
PD의 지정 | - 자본시장법에 따른 국채에 대한 투자매매업의 인가를 받아야 함. - 재무건전성, 인력, 경력, 실적 기준 충족 - 우선 PPD(예비국채딜러)로 지정받아야 함 |
PD의 의무 | - 국고채 인수 : 지표종목별로 매월 경쟁입찰 발행물량의 10% 이상 인수 - 호가 의무 : 각 지표종목에 대하여 10개 이상 호가 - 유통 의무 : 은행 / 증권사별 평균 거래량의 110% 이상을 거래 - 보유 의무 : 자기매매용 국고채 보유 평균잔액 1조원 이상으로 유지 - 매입 의무 : 매입 예정 물량의 5% 이상 낙찰 |
PD의 권한 | - 국고채 경쟁입찰에 독점적 참여 및 발행예정물량의 30% 까지 인수 가능 - 국고채 비경쟁인수권한 |
수정듀레이션이 3.06이고 만기수익률이 2%에서 4%로 상승한 경우, 수정듀레이션으로 측정한 채권가격의 변동률과 이와 비교한 실제채권가격 변동폭에 대한 평가를 적절하게 연결한 것은?
1. +6.12%, 과소평가
2. -6.12%, 과대평가
3. +12.24%, 과소평가
4. -12.24%, 과대평가
답 : 2번
해설:
dP / P (채권가격 변동분) = - MD * dy = (-)3.06 * (+)2 = -6.12
- 수익률이 상승하여 채권가격이 하락한 경우, 채권 가격의 볼록성에 따라 수정듀레이션으로 측정한 채권가격의 변동폭은 실제 채권가격의 변동폭을 과대평가한다.
전통적 면역 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채권매입 당시 설정했던 최선의 수익률을 목표투자기간중의 시장수익률 변동 상황과 관계없이 목표투자기간말에 실현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2. 채권 가격 변동에 의한 매매이익과 재투자수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전략이다.
3. 현실적으로 면역전략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여러 종목의 채권들에 분산 투자하여 목표투자기간과 일치하는 가중 듀레이션을 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4. 면역 전략에 의해 구성된 채권 포트폴리오도 상황의 변화에 따른 리밸런싱의 필요가 있다.
답 : 2번
해설:
전통적 면역 전략은 채권 가격 변동에 의한 매매손익과 재투자수익의 상충적 성격을 이용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투자수익률을 유지하는 전략이므로 매매이익과 재투자수익을 동시에 추구할 수 없다.
추가 해설 :
* 전통적 면역 전략이란?
- 투자자의 목표 투자기간과 채권의 듀레이션을 일치시키는 전략
- 시장금리가 오르거나 내려도, 채권 매입 당시의 예상 수익률을 목표기간 끝까지 지키려는 전략이다.
- 금리가 상승하면 : 채권가격은 떨어지지만 재투자수익이 늘어나서 보완된다.
- 금리가 하락하면 : 채권가격은 오르지만 재투자수익이 줄어들어 역시 균형이 맞추어진다.
* 다른 채권 면역 전략들
1) 순자산가치 면역 전략
- 자산의 시장가치 가중 듀레이션과 부채의 시장가치 가중 듀레이션을 일치시킨다.
- 금리 변동에도 불구하고 "순자산가치" 의 변동성을 최소화 한다.
2) 상황대응적 면역 전략
- 초기에 공격적인 수익을 노리다가, 일정 기준 이하로 수익이 떨어지면 바로 면역전략으로 전환하는 유연한 전략
- 시장이 좋으면 수익을 더 높이고, 나빠지면 손실을 최소화 하는 구조
3) 현금흐름 일치 전략
- 특정 시점에 필요한 자금을 정확히 맞춰서 채권의 현금흐름(이자+원금)을 배치하는 전략.
- 금리변동 리스크 자체를 없애려는 방법.
<보기> 중 채권시장이 비효율적이라는 가정 하에 미래 금리 예측 등을 통해 기대수익률을 추구하는 채권의 적극적 운용전략으로만 모두 묶인 것은?
ㄱ. 현금흐름 일치 전략 ㄴ. 채권 교체 전략 ㄷ. 수익률 곡선 전략 |
1. ㄱ
2. ㄱ,ㄴ
3. ㄴ,ㄷ
4. ㄱ,ㄴ,ㄷ
답 : 3번
해설 :
ㄱ. - 현금흐름 일치 전략은 소극적 채권운용전략에 해당한다.
* 적극적 채권운용전략 vs. 소극적 채권운용전략
구분 | 적극적 채권운용전략 | 소극적 채권운용전략 |
가정 | - 시장이 비효율적 | - 시장이 효율적 |
종류 | - 금리예측전략 - 채권교체전략 - 스프레드운용전략 - 수익률 곡선 타기 전략 - 수익률 곡선 전략 |
- 만기보유 전략 - 사다리형 만기 전략 - 채권면역전략 - 현금흐름 일치 전략 - 채권 인덱싱 전략 |
주식적 측면에서 본 전환사채의 이론가치로서 현재의 주가가 전환 가격을 몇 % 상회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전환 가치
2. 패리티
3. 괴리율
4. 전환비율
답 : 2번
해설 :
* 패리티 계산
패리티 = 주가 / 전환가격 * 100% ex ) 채권의 전환가격 6,000원, 주가의 현재가격 9,000원일 경우 패리티 = 9,000 / 6,000 * 100% = 150% |
'개인공부 > 투자자산운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자산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16 (0) | 2025.04.10 |
---|---|
투자자산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15 (0) | 2025.04.08 |
투자자산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13 (0) | 2025.04.07 |
투자 자산 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12 (0) | 2025.04.04 |
투자자산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11 (1)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