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과목 투자운용 및 전략 2 / 투자분석 - 해외증권투자운용 / 투자전략
<보기> 에서 투자자 A씨가 사용한 환위험 관리 전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미국 투자자 A씨는 달러화의 가치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주식에 투자함으로써 환손실과 주가에서의 환율요인을 상쇄시켜 추자의 환노출을 낮추었다. 결과적으로 투자자 A씨는 별도의 헤지비용 없이 효과적으로 환 위험을 헤지할 수 있다. |
1. 롤링헤지
2. 내재적 헤지
3. 통화의 분산 전략
4. 아무런 헤지도 하지 않음
답 : 2번
해설 :
투자대상 증권과 환율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환위험 전략은 내재적 헤지 이다.
- 외화 매출과 비용을 동일 통화로 발행시키거나 , 외화 자산과 부채를 균형 있게 조정해 환위험을 최소화한다.
1. 롤링 헤지 - 금융 또는 상품 시장에서 사용하는 헤지전략으로 , 짧은 만기의 헤지 계약을 반복적으로 갱신( roll - over ) 하여 장기적인 리스크를 관리하는 방식이다. 주로 선물환 , 선물, 옵션 등의 금융상품을 활용한다.
추가 헤지:
- 선물환 거래 (Forward) : 현재 합의한 환율로 미래의 특정 날짜에 "통화"를 교환하는 계약
- 통화 옵션 (Currency Options) : 특정 환율로 외화를 사고팔 수 있는 "권리"를 구매하는 거래 (ex 풋, 콜 옵션)
- 통화 스왑(Currency Swaps) : 서로 다른 통화로 차입금을 교환하고 정해진 기간 동안 이자를 지급한 뒤, 원금을 다시 교환하는 계약.
- 차익거래 (Arbitrage Hedging) : 다른 시장 간의 환율 차이를 이용해 위험을 줄이고 이익을 얻는 전략
- 포트폴리오 헤지 : 다양한 자산이나 통화를 결합하여 특정 통화 또는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임.
- 계약 조건 조정 : 거래 계약 조건에 환율 변동 보호 조항을 삽입 .
<보기> 중 MSCI 지수에 대한 적절한 설명으로만 모두 묶인 것은?
ㄱ. MSCI 지수는 전세계 49개 국가를 선진국시장, 준선진국시장 , 신흥시장으로 분류하고 있다. ㄴ. MSCI EM 지수의 경우 주가 등락과 환율 변동에 따라 각 국가별 편입비중도 매일 변동한다. ㄷ. 현재 우리나라는 MSCI 지수에서 신흥시장으로 분류되어 있다. ㄹ. MSCI 지수의 산출기준은 유동주식 방식으로 , 시장에서 유통되기 어려운 주식은 제외하고 실제 유동주식을 기준으로 비중을 계산한다. |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답 : 4번
해설:
ㄱ. - 전세계 49개 국가를 선진국시장 , 준선진국시장, 신흥시장으로 분류하고 있는 것은 'FTSE 지수'이다.
MSCI 지수는 크게 선진국 중심의 세계지수와 아시아 ,중남미 등의 신흥시장으로 나눈다.
ㄷ. - MSCI 지수에서 우리나라는 신흥시장으로 분류되어 있는 반면 , FTSE 지수에서는 선진국 시장으로 분류되어 있다.
ㄹ. - MSCI 지수의 산출기준은 유동주식 방식으로, 시장에서 유통되기 어려운 주식은 제외하고 실제 유동주식을 기준으로 비중을 계산한다. 다른 방식인 시가총액 방식은 시장에서 유통되지 않는 주식도 포함하여 계산해 실제 공개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추가해설 :
MSCI 지수
- MSCI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 1969년 모건스탠리에서 설립한 금융 정보 제공 회사. 글로벌 투자 지수와 분석 도구를 제공한다.
- 특징 : 전 세계 주식시장을 분류하고 평가하며 ,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지역 및 벤치마크를 제공한다.
- 주요 MSCI 지수
ㄴ MSCI World Index : 선진국 주식 시장의 성과를 추적.
ㄴ MSCI Emerging Markets (EM) Index : 신흥 시장 주식의 성과를 추적
ㄴ MSCI ACWI (All Country World Index) : 선진국과 신흥국을 포함한 전 세계 주식 시장 .
FTSE 지수
- FTSE (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 : 1984년 런던증권거래소와 파이낸셜 타임스의 합작으로 설립.
- 특징 : 글로벌 시장의 시가총액 가중 지수로 , 구성 종목의 실제 투자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MSCI 지수와 유사하지만, 국가 분류 및 편입 기준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EX) 한국을 선진국으로 분류하지만 MSCI는 신흥국을 분류
- 주요 FTSE 지수
ㄴ FTSE 100 : 런던 증권거래소 상위 100개 대형주로 구성된 지수.
ㄴ FTSE All-World Index : 전 세계 주식 시장을 포함.
ㄴ FTSE Emerging Markets Index : 신흥시장 주식을 추적 .
<보기>의 미국 국채에 대한 설명 중 빈칸에 들어갈 내용이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T-bill 은 발행 시 만기에 따라 ( ) 분류되며 , 이자가 없고 최저거래단위는 ( ) 이다. |
1. 단기채 , 1천달러
2. 단기채 , 1만달러
3. 중기채 , 1천달러
4. 중기채 , 1만달러
답 : 2번
해설 :
T-bill | - 단기채(1년 이하) - 만기가 짧기 때문에 할인채로 발행함(따라서 이자가 없음) |
T-note | - 중기채(1년이상 10년 이하) - 이표채로 발행. (이표가 있어 6개월마다 이자를 받을 수 있음) |
T-bond | - 장기채(10년이상) - 이표채로 발행함(이표가 있어 6개월 마다 이자를 받을 수 있음) |
추가 해설 :
최저거래단위 1만달러 ?
- 채권 시장은 크게 2가지로 분리된다.
- 최초 발행 시의 기관 투자자 대상으로 경매를 진행하는 발행 시장 (Primary Market) .
이때의 최저거래가(거래단위) 는 1만달러이다.
- 개인 투자자도 2차 시장에서 거래 가능한 (Secondary Market) .
이때의 최저거래가(거래단위) 는 100달러이다.
D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미국 증시에 상장되기를 원하는 기업이 발행/상장 관련 비용을 직접 부담하는 경우 Unsponsored DR 이라고 한다.
2. 외국 주식을 DR의 형태가 아닌 원주 그대로 증권시장에 상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3. 달러화 표시 해외 DR 발행이 미국과 미국 이외의 시장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면 이는 EDR이라고 한다.
4. 기업의 본국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기업이 해외 주식시장에 상장한 사례는 없다.
답 : 2번
해설 :
외국 주식을 DR의 형태가 아닌 원주 그대로 증권시장에 상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 이러한 형태를 '원주상장 방식' 이라고 한다.
이 경우 거래소 내 외국 주식 거래를 위한 별도의 시장소속부에서 거래되며, 주식의 표시통화도 현지의 통화나 본국의 통화를 그대로 사용하여 투자자들이 환전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 - 미국 증시에 상장되기를 원하는 기업이 발행 및 상장 관련 비용을 직접 부담하는 경우는 'Sponsored DR' 이라고 한다. 반면 , 해당 기업이 미국 시장 상장을 원하지 않지만 미국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 미국 증권회사가 비용을 부담하여 .DR을 발행하는 경우를 'Unsponsored DR' 이라고 한다.
3. 달러화 표시 해외 DR 발행이 미국과 미국 이외의 시장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GDR' 이라고 한다.
4. 최근 다양한 해외 상장 형태가 등장하면서 , 기업의 본국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기업의 해외 주식시장 상장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추가해설 :
DR 이란?
- DR(Depositary Receipt, 예탁증서)는 외국 기업의 주식을 자국의 증권 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금융 상품이다.
투자자들이 자국의 증권 시장에서 외국 주식에 투자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이다.
- 구조
외국 기업이 자국 주식을 국제 금융기관(예탁은행)에 예탁 .
>>
예탁은행이 이를 바탕으로 DR을 발행
>>
투자자들은 자국 증권 거래소에서 DR을 매매 .
ADR | - American Depositary Receipt - 미국 증권으로 등록하고 미국 증시에 상장되어 거래 |
GDR | - Global Depositary Receipt - 달러 표시로 DR을 발행하고 , 미국과 미국이외의 시장에서 동시에 상장 |
EDR | - European Depositary Receipt - 달러 표시로 DR을 발행하고 , 미국 이외의 시장에서 상장 |
기업의 복수상장 시의 이점으로만 모두 묶인 것은?
ㄱ. 새로운 자금조달원으로서 외화자금의 조달 ㄴ. 기업 정보에 대한 투명성 제고 ㄷ.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이미지 인식 및 홍보효과 ㄹ. 국내외 동시상장을 통한 상장비용의 절감 |
1. ㄱ
2. ㄱ, ㄴ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답: 3번
해설 :
복수 상장의 효과
장점 | - 자금조달 원천의 다양화 - 기업가치 제고 - 기업의 인지도 / 투명성 제고 - 자본비용 절감 |
단점 | - 해외시장으로 거래가 집중될 경우 가격결정 리더십 상실 우려 - 적대적 M&A 대상이 될 수 있음 |
'개인공부 > 투자자산운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자산운용사 2과목 모의고사 공부 4 (0) | 2025.01.23 |
---|---|
투자자산운용사 2과목 모의 고사 공부 3 (1) | 2025.01.17 |
투자자산운용사 2과목 모의 고사 공부 1 (0) | 2025.01.13 |
투자자산운용사 1과목 모의 고사 공부 3 (0) | 2025.01.09 |
투자자산운용사 1과목 모의 고사 공부 2 (2)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