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과목 직무윤리 및 법규 / 투자운용 및 전략 1 / 거시경제 및 분산투자 - 거시경제
IS - LM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LM곡선에서 화폐수요는 소득과 이자율을 감소함수이다.
2. 재정정책이 IS 곡선을 이동시킨다면, 통화정책은 LM곡선을 이동시킨다.
3. IS곡선에서 정부지출과 조세는 외생변수로 규정할 수 있다.
4. IS곡선은 재화시장의 균형을 이루는 이자율과 국민소득의 조합이며, LM곡선은 화폐시장의 균형을 이루는 이자율과 국민소득의 조합이다.
답 : 1번
해설:
LM 곡선에서 화폐수요는 소득의 증가함수이고 이자율의 감소함수이다.
추가해설:
IS-LM 모형이란?
- 경제 전체의 '총수요'를 분석하는 기본적인 경제모형.
- IS 곡선과 LM 곡선을 통해 '이자율' 과 '국민소득(=총생산)'이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IS 곡선 (Investment-Saving curve. 투자-저축 곡선)
- '상품시장'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
- 즉, '총수요(소비+투자+정부지출)' = '총공급(국민소득)'이 되는 이자율과 소득의 조합이다.
- 이자율이 낮아지면 기업들이 대출받아 투자하기 쉬워지니, 투자가 증가 => 총수요 증가 => 국민소득 증가 => IS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LM 곡선(Liquidity preference-Money supply curve, 유동성선호-통화공급 곡선)
- 화폐시장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를 나타낸다.
- 즉, '화폐수요(돈을 가지고 있고 싶어하는 욕구)' = '화폐공급' 이 되는 이자율과 소득의 조합이다.
- 국민소득이 증가하면 거래가 많아지니 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다. 그러면 이자율이 올라야 화폐시장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 때문에 LM곡선은 보통 우상향 한다.
*IS-LM 모형의 핵심
- IS 곡선과 LM 곡선이 만나는 점 => 이자율과 국민소득(= 경제의 균형 상태)을 결정한다.
- 정부가 재정정책(정부지출 증가 등)을 쓰면 IS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중앙은행이 통화정책(돈 푸는 것)을 쓰면 LM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보기>의 BSI 지수에 대한 설명 중 빈칸에 들어갈 내용이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전체 응답자 수가 100, 증가를 예상한 업체수의 비율이 70, 감소를 예상한 업체수의 비율이 30인 경우, BSI 지수는 ( ) 이며 , ( ) 국면으로 판단 한다. |
1. 40, 확장
2. 40, 수축
3. 140, 확장
4. 140, 수축
답 : 3번
해설:
- 기업경기실사지수(BSI)
= (경기를 낙관적으로 본 기업 수 - 경기를 비관적으로 본 기업수 ) + 100
= ( 70 - 30 ) + 100 = 140
- BSI 가 100이상이면 확장국면으로 판단한다.
*설문조사에 의한 경기예측
기업경기 실사지수(BSI) | - 기업의 활동 및 경기동향 등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 전망 및 이에 대비한 계획 설문서를 통해 조사 분석함으로써 전반적인 경기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단기 경기예측수단. - BSI = (증가율 예상한 업체 수의 비율 - 감소를 예상한 업체수의 비율 ) + 100 |
소비자태도 지수(CSI) | - 소비자태도지수는 특히 경기수축기에 있어 기업실사지수보다 일정기간 선행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경기국면 변화 예측에 유용한 지표로 활용 가능 |
<보기> 중 거시경제정책에 대한 적절한 설명으로만 모두 묶인 것은?
ㄱ. 확대재정적책이 이자율을 상승시켜 민간투자를 위축 시키는 현상을 구축효과라고 한다. ㄴ. 유동성함정구간에서는 LM곡선이 수평이 되므로 재정정책이 효과가 없게 된다. ㄷ. 유동성함정 구간을 탈출할 수 있는 고전학파의 이론은 피구효과 이다. |
1. ㄱ
2. ㄱ,ㄷ
3. ㄴ,ㄷ
4. ㄱ,ㄴ,ㄷ
답: 2번
해설 :
ㄴ. - 유동성함정구간에서는 LM곡선이 수평이 되므로 재정정책의 효과가 극대화되고 통화정책이 효과가 없게 된다.
<보기>를 참고하여 유동성프리미엄이론을 통해 계산한 유동성 프리미엄은? (단,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함)
- 올해 단기 이자율 : 5% - 내년 단기 예상 이자율 : 7% - 내후년 단기 예상 이자율 : 6% - 3년 만기 장기채권이자율 : 7.5% |
1. 0.3%
2. 0.5%
3. 1.0%
4. 1.5%
답 : 4번
해설:
장기채권의 금리
= 만기까지 예상된 평균 단기 이자율 + 유동성 프리미엄 수익률
= (5+7+6) / 3 + 유동성프리미엄 = 7.5
유동성프리미엄 = 7.5 - 6
유동성프리미엄 = 1.5
'개인공부 > 투자자산운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자산운용사 모의고사 총합 공부 1과목 (1) | 2025.04.16 |
---|---|
투자자산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18 (1) | 2025.04.14 |
투자자산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16 (0) | 2025.04.10 |
투자자산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15 (0) | 2025.04.08 |
투자자산운용사 3과목 모의고사 공부 14 (0) | 2025.04.07 |